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총정리 및 간단 신청하기

by 가끔 훈남 2023. 10. 22.
728x90
SMALL

 

 

청년도약계좌

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,000만원의 목돈을 마련 수 있는 계좌가 있습니다.
이 계좌는 정부에서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 

 
청년들이 더 많은 돈을 저축하고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줍니다.
이 계좌를 통해 청년들은 장기적인 재정 목표를 달성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더 큰 꿈을 펼칠 수 있습니다.
 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입니다.
매월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시 수령할 수 있습니다.
 
매월 7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, 정부 기여금은 납입 금액에 따라 지원됩니다.
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받아 청년들에게 유리한 정책입니다.
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

매월 2주간 신청 할수 있는 날짜가 확정되는데요.

통상적으로으로 매월 초에서 매월 중순경까지 약 2주간 접수기간이 설정 됩니다. 

따라서 지금 현재 신청 가능한 날짜라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히 온라인 상에서 신청 할 수 있습니다.
 

 

청년도약계좌 혜택

이자 소득에서 세금이 면제됩니다. 또한 정부가 주는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 

 
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다르게 지급됩니다.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기여금이 더 많이 지급되며, 연소득이 4,8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매월 70만 원 미만의 금액을 납부하더라도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 
예를 들어 연소득이 2,400만 원이라면 매월 40만 원을 내면 한 달에 한 번씩 정부 기여금 2만 4천 원을 받게되며 연소득이 6,000~7,500만 원인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지급 대상이 아니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 

 
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는?

모든 금리를 합하면 최대 6.0% 까지 가능합니다.
은행마다 우대금리 조건이 약간씩 다르기에 자신에게 적합한 곳을 선택해야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한가지 더 중요한 점은 현재 고시된 금리는 3년간은 고정 금리이고 그 이후부터는 변동금리로 적용 됩니다.
 
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

 

청년도약계좌를 통한 정부 기여금은 얼마를 받을수 있을까요

청년도약계좌를 통한 정부기여금은 본인의 총급여가 낮을수록 적립 비율이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.
총급여가 24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납입액의 6%를 지원하고, 총급여 36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납입액의 4.6%를 매칭하여 지원합니다.
 

 
급여 수준에 따라 지원 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총급여가 2400만 원인 청년의 경우 월 납입액 중 최대 40만 원만큼 기여금이 적용됩니다.
따라서, 받을 수 있는 정부 기여금의 최대액은 40만 원의 6%인 2만 4000원입니다.
 
또한, 70만 원을 납입한다고 해도 정부 기여금은 해당 소득 구간의 기여금 지급 한도액에 따라 적립됩니다.
따라서, 매달 큰 금액을 붓는 것이 부담스럽다면, 기여금 지급 한도액에 맞춰 납입액을 조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 

 

청년도약계좌를 은행 앱에서도 신청 할 수 있습니다.

올해 6월부터 12월까지, 매월 2주간 11개 취급은행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11개 취급은행은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대구은행 입니다.
 

 
 청년도약계좌 관련 첨부 파일

20230612_230609 (별첨)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QA.hwp
0.09MB
20230612_230609 (보도자료)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 개최.hwp
0.21MB


 

728x90
LIST